" 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죽은 시인의 사회,지금 이 순간 즐기는 자가 승자다!
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죽은 시인의 사회,지금 이 순간 즐기는 자가 승자다!

by 은코나 2022. 11. 1.
반응형

죽은 시인의 사회, 소개

1989년 공개된 미국의 드라마 영화 입니다. 피터 위어가 감독 톰 슐만이 각본을 맡은 영화 입니다.

미국 입시 명문고 웰튼 아카데미는 공부가 인생의 전부인 학생들이 명문대학을 가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곳입니다. 새로 부임한 키팅은 독특한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충격을 안겨 주었다.

점차 그를 따르게 된 학생들은 공부보다 중요한 인생의 의미를 알아 가게 됩니다.

하지만 이를 위기로 여긴 다른 어른들은 이들의 용기 있는 도전을 시간낭비와 반항으로 단정지으며

모든책임을 키팅 선생님께 전가하게 됩니다.

죽은 시인의 사회, 줄거리

대부분의 졸업생이 명문학교로 진학한다는 웰튼 아카데미 학교는 확일화된 교육으로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아카데이미의 교육 이념은 전통,명예,규율 입니다.그러던 어느 날 국어를 담당하는 키팅 선생님이 오시게 됬습니다.키팅 선생님은 특이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눈을 번쩍 뜨이게 만들었습니다. 선생님은 자신을 오캡틴,나의 캡틴 이라고 불러달라 합합니다. 키팅 선생님은 특이한 수업을 시작하기 합니다. 시를 평가하며 마음에 안 드는 구절이 있으면 국어 교과서를 찢게

하는 수업을  만들었습니다.또 시의 구문이 적혀있는 종이를 발로 뻥 차기도 합니다.그리고 세상을 다양한 각도로 봐야한다며 책상 위에서 올라가 반을 바라보게 합니다. 이렇게 키팅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지루하지 않고 유쾌하며 의문스러운 수업을 진행하곤 했답니다.그러던 어느 날 아이들이 죽은 시인의 사히에 대해 의문을 가졌습니다. 키팅 선생님은 학창시절에 만든 모임이라고 했습니다. 아이들은 비밀리에 죽은 시인의 사회를 결성하며 자유를 느끼게 됩니다.어느 날 죽은 시인의 사회를 장난으로 신문에 애인구함 식으로 광고를 했습니다.학교에선 그글을 보고 발칵 뒤집어 졌습니다. 교장 선생님은 나오셔서 솔직하게 이야기 하면 용서 하겠다고 합니다. 결국 죽은 시인의 사회의 존재는 노출 되었습니디.닐 페리는 연극을 하고 싶었으나 아버지의 반대로 인해 연극을 하지 못했답나다.하지만 키팅 선생님의 응원과 용기에 아버지 몰래 연극부에 들어가 한여름밤의 퍽 역을 따냅니다. 그러나 공연 전날 소문을 들은 페리 아버지는 당장 그만두라고 하셨습니다.닐은  아무말도 못하고 알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이후 키팅 선생님께 푸념합니다." 나에게 연극은 모든 것이고 이제껏 해본 적이 없는 유일하게 하고 싶은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러자 키팅은 지금 나한테 한 말을 아버지 한테 하고 너의 열정을 보여 허락을 받아 내라고 격려 해줍니다. 그러나 닐은 키팅 선생님께 아버지께 허락을 맡았다고 거짓말을 합니다. 키팅 선생님은 눈치를 챗지만 모르는 척 했습니다.오지 않을꺼같던 아버지는 공연을 보러 오셨고 공연이 끝나자마자 아버지께 끌려 나왔습니다. 아버지가 유년사관학교로 갈 거라고 하자 닐은 그날 아버지의 서재에 있는 총으로 짧은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죽은 시인의 사회의 부원인 리처드가 닐이 죽은 시인의 사회 회원이었다는 것과 키팅 선생님이 연극에 나갈수 있도록 격려했다는걸 발설하였습니다. 교장은 학교의 책임을 지지않기위해 닐의 죽음의 배후자를 키팅으로 몰기로 하였습니다. 이 소식을 듣고 달튼이 리저드에게 욕을 하자 리처드는 "선생님이 우릴 부추겼고, 선생님만 아니였어도 닐은 죽지도 않고 의사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외치다 맞게 됩니다. 영문학 수업은 잠시 교장이 맡게 됩니다.그 수업 첫 시간, 키팅은 사무실에 두고 온 물건이 있어 교실로 들어왔는데 토드가 갑자기 일어나 부원들은 교장에게 퇴학을 조건으로 강요당해서 서명할 수밖에 없었다며 외칩니다. 놀란 교장은 자리에 앉아 조용하지 않으면 퇴학시키겠다고 했습니다.그러나 잠시후 토드는 책상으로 올라가 월트 휘트먼의 시의 한구절이자 존키팅을 부르는 별명을 외쳤습니다. 그 모습에 일부 학생들이 교자으이 명령에도 굴하지 않고 떠나는 존 키팅을 향한 마지막 인사로 토드처럼 책상에 올라 갑니다. 이모습은 타인의 강요의 순간이 아닌 자유의지의 의미를 학생들이 깨달았음을 암시하며 끝납니다.ㅚ

죽은 시인의 사회 ,생각

영화 속에 나오는 학생들은 명문학교에 다니며 엄격한 규칙과 규율속에 지냅니다. 그들은 주입식 교육과 함께 부모님이 정해놓은 삶을 향해 열심이 나아가는 존재입니다. 그런 세상속에서 키팅선생님은 시를 통해 자신의 방식대로 바라볼수있게..

좋은 대학,좋은 직장 ,돈,사회적 지위를 인생의 성공이라고 이야기 합니다.그리고 그 고통을 그대로 아이들에게 강요도 합니다. 저 또한 영화속에 생각하는 어른들 처럼 "사회적"성공이라는 것도 결국은 상대적인 성공 개념으로써 인정을 받아야 빛을 발휘할수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때문에 성공에 돈에 직찹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자기만의 가치관이나 세상을 바라보는 마인드가 잡히지 않은 아이들에게 그것을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또 "그들이 원하는 나"가 아닌 "내가 원하는 나"로 살아 갈때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반응형

댓글